Use After Free (UAF) 너 뭐임??
UAF 취약점에 대해서 알아보자. 취약점의 유형 중 Memory Corruption Vulnerability(메모리 오염 취약점)에 대해서 공부하던 중 UAF 취약점을 처음 접하게 되었다. 일단 UAF 취약점이 Memory Corruption에 속해 있으니 먼저 정의를 살펴보자. Memory Corruption (메모리 오염) 메모리를 참조하는 부분에서 오류가 발생해 생기는 취약점 공격자는 메모리가 Corruption 되는 부분을 이용해 공격자가 원하는 명령어를 참조하도록 수행 가능 이제 Memory Corruption의 정의를 알았다면 한 가지 더 메모리 구조에 대해 이해가 필요하다. 왜냐? UAF는 Heap 영역에서 일어나는 취약점이며 Heap은 메모리 영역 중 하나이기에 메모리 구조를 알아야 한다...
2020.04.24